교수 3

[마음 강의 #2] 마음 근력 3가지 ::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마음 강의 #2]를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코로나를 겪고 난 이후 몸의 병뿐만 아니라 마음의 병도 잘 치료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젊은 세대들이 마음이 아파 우울증, 조울증, 비관적인 생각들로 자기를 파괴하는 모습들은 마음의 질병이 몸의 질병보다 더 심각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지키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이젠 다들 아실 겁니다.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잠 4:23) 잠언 성서 말씀에 우리의 마음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김주환 교수님이 쓰신 【내면소통】을 통해 마음 근력 3가지를 배우고 우리의 마음을 지키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마음 근력의 3가지 자기조절력(=핵심 근육) 내..

[마음 강의 #1] 몸 근력과 함께 '마음 근력'도 강화 시키자!

우리는 몽의 근력을 키워 보다 건강한 삶을 유지하려고 한다. 근력은 그만큼 우리에게 중요하다 한 의사는 근력 운동의 제일 중요성을 강조한다. 근력이 별로 없는 사람은 오래된 배터리와 같다. 잠을 자도 충전이 잘 안 되고 방전도 그만큼 빨리 된다. 그런데 혹시 '마음 근력'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나도 【내면소통】 책을 읽기 전엔 알지 못했던 생소한 단어였다. 하지만 마음 근력 또한 우리 몸의 근력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살아가는데 정말 중요한 근력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마음 근력이란 무엇인가?마음 근력이란 사람이 어떤 일을 해내기 위한 기본적인 성취역량이다. 마음 근력의 강화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뇌의 기본적인 작동방식 가운데 일부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잘 부합되지 않기 때문 우리의 뇌..

[인생 강의 #3] 대학을 꼭 가야해?

압도적인 대학 진학률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모두가 대학에 집착하고 있다.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경제적 성공을 보장해주기 때문일까? 중상위권의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대기업의 입사로 향하는 관문이 된다. 하지만 대기업이 공채를 포기하고 있다. 공채의 종말은 곧 대학의 붕괴를 야기한다. 대학이 학문을 탐구하기 위해 가는 곳이라고 말하는 것은 옛말이 되었다. 취업에 대학 졸업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다. 수능으로 필터링된 사람은 토익에서 또 필터링 되고 여러 자격증과 어학연수 등 자신을 뽐낼 수 있는 스펙으로 무장해야 원하는 기업에 들어갈 수 있다. 그렇지만 이마저도 흔들리고 있다. 자동화가 진행된 기업에서 진짜 필요한 인재를 뽑고 싶어 하고 이에 심층면접이 중해지면서 사실상 대학이 취업으로써 할..